3일동안 안보기

아무거나

급발진은 진짜 없는것인가 있는것인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호기
댓글 0건 조회 137회 작성일 25-05-22 11:27

본문

착각인가 기계적 결함인가

급발진은 운전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차량이 갑자기 통제 불능 상태로 급가속하며 돌진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운전자에게 극심한 공포를 안겨주고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입니다.

급발진의 원인
급발진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아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크게 두 가지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차량 결함:
전자 제어 장치(ECU) 오류: 최근 차량은 대부분 전자 제어로 작동하기 때문에, 엔진 제어 컴퓨터(ECU)의 소프트웨어 오류, 납땜 불량, 외부 전자파 간섭 등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이는 가속 페달 신호가 잘못 인식되거나 스로틀 밸브가 갑자기 열리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결함: 가속 페달 자체의 물리적 결함, 브레이크 시스템 이상, 또는 제조 과정에서의 미세한 결함 등도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합니다.
운전자 조작 미숙:
페달 오조작: 운전자가 당황하여 브레이크 페달 대신 가속 페달을 밟는 실수를 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게 지적되는 원인입니다. 특히 주차장이나 좁은 공간에서 출발하거나 후진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지 오류: 운전자가 본인이 브레이크를 밟았다고 강하게 확신하지만, 실제로는 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 경우가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현재까지 국내 급발진 의심 사고에 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의 분석 결과 대부분은 운전자 페달 오조작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이는 사고기록장치(EDR) 데이터나 CCTV 영상 등의 제한적인 정보에 기반한 판단이며, 차량 결함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급발진 의심 사고 사례 및 논란
급발진 의심 사고는 끊이지 않고 발생하며 사회적인 논란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잦은 발생: 주정차 또는 방향 전환 과정, 시동을 켜고 출발하는 과정, 주유/세차/신호대기 후 출발하는 과정 등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특히 주차장에서 과반수 이상의 사고가 발생합니다.
증명 책임: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차량 결함으로 인한 급발진이 재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된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제조물 책임법상 소비자가 차량의 결함을 입증해야 하므로, 개인이 제조사의 기술력과 방대한 데이터를 상대로 결함을 증명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피해자들이 억울함을 호소하고 '도현이법'과 같은 관련 법안 개정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EDR 기록의 한계: 차량의 사고기록장치(EDR)는 사고 발생 시 가속 페달, 브레이크 페달 작동 여부, 차량 속도 등의 데이터를 기록하지만, 이 데이터가 차량의 모든 오작동을 완벽하게 담아내지 못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급발진 사고 시 대처법
만약 급발진이 의심되는 상황에 처했다면, 다음의 대처법을 숙지하고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브레이크 페달을 최대한 강하고 깊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밟습니다. 한 번에 깊이 밟는 것이 중요하며, 여러 번 나눠 밟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동시에 기어를 중립(N)으로 변경합니다. 이를 통해 엔진의 동력을 차단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단, 차량의 속도가 매우 빠를 때는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 또는 사이드 브레이크를 작동합니다. 최근 차량에 탑재된 EPB는 주행 중에도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기계식 사이드 브레이크도 주행 중 사용할 수 있지만, 급격한 제동으로 차량이 불안정해질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시동을 끄는 것은 최후의 수단으로 고려합니다. 시동을 끄면 제동 및 조향 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차량 통제가 완전히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다만, 다른 방법이 전혀 통하지 않을 때는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주변 장애물을 활용하여 충격을 완화합니다. 만약 불가피하게 충돌해야 한다면, 가드레일이나 중앙분리대, 또는 주차된 차량의 후면 등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곳으로 유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고려합니다.
페달 블랙박스를 설치하여 증거를 확보합니다. 급발진 논란에서 운전자의 페달 조작 여부가 핵심 쟁점이 되므로, 페달 움직임을 녹화하는 블랙박스는 사고 후 진실 규명에 매우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0건 2 페이지
아무거나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5
타이손 05-22 124
타이손 124 05-22
14
타이손 05-22 113
타이손 113 05-22
13
타이손 05-22 101
타이손 101 05-22
12
타이손 05-22 139
타이손 139 05-22
11
타이손 05-22 135
타이손 135 05-22
10
타이손 05-22 132
타이손 132 05-22
9
타이손 05-22 138
타이손 138 05-22
8
늘오늘 05-22 146
늘오늘 146 05-22
7
늘오늘 05-22 144
늘오늘 144 05-22
6
수호기 05-22 133
수호기 133 05-22
5
수호기 05-22 139
수호기 139 05-22
4
수호기 05-22 148
수호기 148 05-22
열람중
수호기 05-22 138
수호기 138 05-22
2
수호기 05-22 129
수호기 129 05-22
1
수호기 05-22 131
수호기 131 05-22

검색

회원 로그인

포인트랭킹

1 타이손 560점
2 이대로 354점
3 별천지 245점
4 수호기 150점
5 리베로 105점
6 오늘만 100점

검색랭킹

접속자집계

오늘
15
어제
130
최대
305
전체
4,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