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동안 안보기

좋은글

도면에 콘센트 기호 그릴 때 헷갈렸던 부분, 정리해봤습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대로
댓글 0건 조회 91회 작성일 25-06-05 12:59

본문

처음 전기 설비 도면을 그리기 시작했을 때, 가장 자주 마주쳤던 질문 중 하나가
“콘센트는 어떻게 표시해야 하지?”였습니다.
기호 자체는 단순해 보여도, 위치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표시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꽤 헷갈릴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콘센트 기호는 원 안에 두 개의 세로 막대 선이 들어간 형태입니다.
보통 평면도에서 벽면을 따라 표시하며, 해당 기호 옆에는 간단한 문자나 숫자로
콘센트의 종류나 용도를 함께 표기하죠.

예를 들어 가장 많이 쓰이는 일반 콘센트는
○ 안에 "C" 표시 또는 **기호 옆에 “220V”**라고 적기도 합니다.
복수구나 접지형일 경우는 조금 더 복잡하게 구분합니다.

제가 작업했던 도면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그렸습니다.

일반 콘센트: 동그라미 안에 세로 두 줄

접지형 콘센트: 동그라미 안에 세로 두 줄 + 가운데 점

멀티탭형(3구 이상): 기호 옆에 “3구” 또는 “멀티”

에어컨 전용 콘센트: 별도로 “에어컨용”이라 표시하거나, 스페셜 코드명 부여

배선용 콘센트: 꺾쇠(>), 역삼각형 등으로 방향이나 높이를 함께 표시

콘센트는 단순히 “보여주는” 요소가 아니라, 시공 정확도와 직접 연결되는 요소라
기호만 표기할 게 아니라 스케일에 맞게 위치 정확히 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장에서는 가구 배치나 실내 마감에 따라 콘센트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면에 예상 가구나 기기 위치도 함께 그려주는 게 시공자 입장에서 훨씬 편리하다고 하더라고요.

또 하나, 도면 작업 시 기호의 크기와 선 굵기도 일관되게 사용하는 게 중요합니다.
스케치업이나 캐드에서 기본 템플릿을 만들어두면,
나중에 다른 도면에서도 그대로 복사해서 쓸 수 있어서 작업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전기 설비 도면은 특히나 약속된 기호 체계와 실제 시공 간의 간극을 줄이는 게 관건이라
처음부터 기호와 배선 표시 기준을 익혀두면 이후 작업 효율이 많이 올라갑니다.

혹시 도면 종류가 평면도인지, 전개도인지, 전기 일람표인지에 따라
기호 배치 방식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조금 더 구체적인 상황이 있다면 그에 맞게 다시 정리해드릴 수도 있어요.
댓글 남겨주시면 제가 실무에서 써본 기준으로 도와드릴게요.

열심히 준비해서 모두 합격하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3건 1 페이지
좋은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3
타이손 06-13 78
타이손 78 06-13
32
타이손 06-13 84
타이손 84 06-13
31
이대로 06-05 103
이대로 103 06-05
30
이대로 06-05 100
이대로 100 06-05
29
이대로 06-05 88
이대로 88 06-05
28
이대로 06-05 94
이대로 94 06-05
열람중
이대로 06-05 92
이대로 92 06-05
26
타이손 05-29 133
타이손 133 05-29
25
타이손 05-29 112
타이손 112 05-29
24
타이손 05-29 107
타이손 107 05-29
23
타이손 05-29 110
타이손 110 05-29
22
타이손 05-22 116
타이손 116 05-22
21
타이손 05-22 105
타이손 105 05-22
20
타이손 05-22 115
타이손 115 05-22
19
타이손 05-22 114
타이손 114 05-22

검색

회원 로그인

포인트랭킹

1 타이손 560점
2 이대로 354점
3 별천지 245점
4 수호기 150점
5 리베로 105점
6 오늘만 100점

검색랭킹

접속자집계

오늘
72
어제
130
최대
305
전체
4,994